중국 복건성 푸저우에서 열린 제44차 세계유산정부간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‘한국의 갯벌(Getbol, Korean Tidal Flat)’
‘한국의 갯벌’은 ‘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(2007년 등재)’에 이어 우리나라 두 번째 자연유산이 됐다.
표지 사진은 ‘보성갯벌 기수역환경의 넓은 염습지와 조수로’
<자료제공=전라남도>
이슈조명
37 FTA 피해보전직불금·폐업지원금 청어 생산 어업인도 지원받는다
특별기고
38 참갑오징어 종자 먹이전환으로 육상양식 발판 마련
/ 김윤설 전남해양수산과학원 서부지부 자원조성연구소 연구사
기류
44 갯벌온도 실시간 공유로 수산피해 최소화 노력
정보마당
53 ‘제6회 수산자원을 부탁해 공모전’ 개최
정책분석/ 2020년 귀어인 통계
54 2020년 귀어인 967명, 동반가구원은 230명
자원방류
66 부산, 자체 생산한 어린 황복 5만 마리 방류 外
지자체소식
78 경남, 적조·고수온 피해 제로 2회 연속 도전 外
이슈초점
84 품종교대로 1년 내내 가리비 양식시대 열어
핫이슈
86 조피볼락 아가미흡충 신규 치료제 2종 개발
정책이슈
88 해양수산부 제2차 추경 243억 원 확정
프리즘
90 ‘한국의 갯벌’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다
양식신기술
92 갯녹음어장 미이용 성게 새 소득원 개발 ‘박차’
특별연재
94 강도다리 양식기술 매뉴얼 ① / 국립수산과학원 양식연구과
스페셜 리포트
124 광어·우럭·우럭종자·가두리·뱀장어·전복·멍게 / KMI수산업관측센터
140 수산물 수출입동향
144 조석표